1. 기본형과 참조형
자바에서 자료형은 실제 값을 저장하는 기본형과 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저장하는 참조형으로 나뉜다.
1. 1 기본형
1 | 2 | 4 | 8 | |
논리형 | boolean | |||
문자형 | char | |||
정수형 | byte | short | int | long |
실수형 | float | double |
1.2 명명규칙 (권장사항)
1. 클래스 이름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로 한다. 변수와 메서드 이름은 첫글자를 소문자로 한다.
2. 여러 단어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ex. lastIndexOf
3.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한다. 단어는 '-'로 구분한다. ex. PI, MAX_NUMBER
1.3 상수, 리터럴
상수(constant): 한 번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ex. final int MAX_SPEED = 10;
리터럴: 그 자체로 값을 의미, 변수에 넣는 변하지 않는 데이터
1.4 문자와 문자열
두개 이상의 문자로 이루어지면 문자열이다.
문자는 ch, 문자열은 String 타입을 사용해야한다. 문자열은 참조형 타입으로 null을 허용하고 ""값도 가능하지만, 문자는 하나의 문자가 있어야한다.
char ch = 'A';
String sl = "AB" ;
/* 에러 */
char ch = 'AB';
/* 에러 */
char ch = '';
문자열 + any type => 문자열
any type + 문자열 => 문자열
1.5 참조형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은 새로운 참조형을 추가하는 것이다.
참고)
JAVA의 정석
'Backend Study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 (0) | 2023.01.26 |
---|---|
[JAVA] 제어자, 다형성, 인터페이스, 내부 클래스와 익명 클래스 (0) | 2023.01.26 |
[JAVA] 상속 (0) | 2023.01.26 |
[JAVA] 생성자 (0) | 2023.01.26 |
[JAVA] 배열, 변수와 메서드 (0) | 2023.01.26 |